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애디슨병 – 신체가 코르티솔을 만들지 못하는 희귀 질병

건강

by aneasylife-info 2025. 2. 16. 10:58

본문

서론: 애디슨병이란 무엇인가?

애디슨병(Addison’s Disease)은 부신(Adrenal Gland)에서 필수적인 호르몬인 코르티솔(Cortisol)과 알도스테론(Aldosterone)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는 희귀한 내분비 질환이다. 이 질병은 부신 기능 저하증(Adrenal Insufficiency)의 한 유형으로, 호르몬 부족으로 인해 만성 피로, 저혈압, 체중 감소, 피부 착색 증가, 위장 장애 등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.

애디슨병은 전 세계적으로 인구 100,000명당 약 4~6명 정도에서 발생하는 희귀 질환이며, 남녀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다. 하지만 조기에 진단하지 않으면 급성 부신부전(Adrenal Crisis)이라는 치명적인 응급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신속한 치료가 필수적이다.

오늘은 애디슨병의 원인, 주요 증상, 진단 방법, 치료법, 그리고 장기적인 관리 전략에 대해 전문적으로 분석해보겠다.

 

애디슨병 – 신체가 코르티솔을 만들지 못하는 희귀 질병


1. 애디슨병의 원인 – 왜 발생하는가?

애디슨병은 부신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되어 정상적인 호르몬을 생산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. 일반적으로 원인에 따라 일차성(Primary)과 이차성(Secondary) 부신 기능 저하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.

🔹 1) 일차성 애디슨병(Primary Adrenal Insufficiency, PAI)

  • 부신 자체가 손상되어 코르티솔과 알도스테론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.
  • 전체 애디슨병 환자의 70~90%는 자가면역 반응에 의해 발생함.

자가면역성 부신염(Autoimmune Adrenalitis, 전체의 약 80%)

  • 자가면역 질환으로 인해 면역세포가 부신을 공격하면서 부신이 점진적으로 기능을 상실.
  • 다발성 자가면역 증후군(APS, Autoimmune Polyglandular Syndrome)과 관련될 수 있음.

결핵(Tuberculosis, TB) 및 감염성 질환

  • 과거 결핵이 주요 원인이었지만, 현재는 자가면역 질환이 더 흔한 원인.
  • HIV/AIDS, 곰팡이 감염(예: 히스토플라스마증), 수막구균 감염 등이 부신을 손상시킬 수 있음.

부신 종양, 출혈 또는 외상

  • **부신의 출혈(Adrenal Hemorrhage, Waterhouse-Friderichsen Syndrome)**이 발생할 경우 급성 애디슨병 발병 가능.
  • 암(전이성 암), 부신의 낭종 또는 외상으로 인한 손상도 원인이 될 수 있음.

🔹 2) 이차성 애디슨병(Secondary Adrenal Insufficiency, SAI)

  • 뇌하수체(Pituitary Gland)나 시상하부(Hypothalamus)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부신피질자극호르몬(ACTH)이 부족하여 부신이 위축되는 경우.

스테로이드 장기 사용 후 갑작스러운 중단

  • 천식, 류마티스 관절염, 자가면역 질환 치료를 위해 장기간 스테로이드(프레드니솔론 등)를 사용하다가 갑자기 중단할 경우 부신 기능이 저하될 수 있음.

뇌하수체 종양 또는 외상

  • 뇌하수체 기능 이상으로 ACTH 분비가 감소하면 부신 기능도 함께 저하될 수 있음.

이처럼 애디슨병은 부신 자체의 문제(일차성) 또는 호르몬 조절 기관의 문제(이차성)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,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다.


2. 애디슨병의 주요 증상 – 어떻게 진행되는가?

애디슨병의 증상은 부신 호르몬(코르티솔, 알도스테론) 부족으로 인해 신체의 항상성이 무너지고, 대사 기능이 저하되면서 발생한다.

🔹 1) 만성 증상(서서히 진행되는 경우, 대부분의 환자)

극심한 피로(Fatigue)코르티솔 부족으로 인해 만성적인 피로와 무기력감이 동반됨.
체중 감소(Weight Loss)식욕 감소와 대사 기능 저하로 인해 체중이 감소할 수 있음.
저혈압(Hypotension) 및 어지럼증(Dizziness)알도스테론 부족으로 인해 혈압이 낮아지며, 기립성 저혈압이 자주 발생.
피부 착색 증가(Hyperpigmentation)ACTH 증가로 인해 피부가 어두운 갈색으로 변할 수 있음(손바닥, 무릎, 입술, 잇몸 등에서 두드러짐).
위장 장애(Gastrointestinal Issues)오심(Nausea), 구토(Vomiting), 복통(Abdominal pain), 설사(Diarrhea) 발생 가능.
근육 약화 및 관절통(Muscle Weakness, Joint Pain)코르티솔 부족으로 인해 근육과 관절의 피로가 심해질 수 있음.

🔹 2) 애디슨 위기(Adrenal Crisis, 급성 악화 시)

애디슨병을 조기에 치료하지 않거나, 감염, 수술, 심한 스트레스 등의 요인으로 인해 **급성 부신부전(Adrenal Crisis)**이 발생할 수 있다.

심한 저혈압(Severe Hypotension) → 쇼크(Shock) 상태로 진행될 가능성 있음.
심각한 전해질 불균형나트륨(Na) 감소, 칼륨(K) 증가로 인해 심장 기능 이상 가능.
의식 저하 및 혼수 상태(Coma) → 즉각적인 치료가 없으면 사망 위험 증가.

이처럼 애디슨병은 초기에는 서서히 진행되지만, 급성 애디슨 위기가 발생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해야 한다.


3. 애디슨병의 진단 – 어떻게 판별할 수 있을까?

혈액 검사(Blood Test) → 코르티솔 및 ACTH 수치 확인.
ACTH 자극 검사(ACTH Stimulation Test) → 합성 ACTH를 주사한 후 코르티솔 반응을 평가.
혈액 전해질 검사(Electrolyte Panel) → 나트륨(Na) 감소, 칼륨(K) 증가 여부 확인.
복부 CT 및 MRI → 부신의 크기 및 구조 이상 확인.

조기 진단이 중요하며, 애디슨 위기가 의심될 경우 즉시 병원 치료가 필요하다.


4. 애디슨병의 치료 –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?

코르티솔 보충(Glucocorticoid Replacement)히드로코르티손(Hydrocortisone), 프레드니솔론(Prednisolone) 복용.
알도스테론 보충(Mineralocorticoid Replacement)플루드로코르티손(Fludrocortisone) 사용.
급성 애디슨 위기 치료 → 고용량 스테로이드 정맥 주사 및 수액 공급 필요.


결론: 애디슨병과 함께 살아가기

애디슨병은 부신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희귀 내분비 질환으로,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호르몬 치료를 받으면 정상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다.

환자는 평생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아야 하며,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는 스테로이드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. 특히, 애디슨 위기를 예방하기 위해 규칙적인 복약과 건강 관리가 필수적이다.

관련글 더보기